728x90
반응형
SMALL

개구리 6

초충도 원추리와 매미

간만에 금요그림 신사임당 초충도 시리즈 마지막 그림인 원추리와 매미 원추리는 부귀영화를 상징한다고도 하고... 득남을 상징한다고도 하고.. 소원성취를 의미한다고도 하는등..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초충도의 특성상 부귀영화의 의미로 그려진거라는 생각이든다. 매미는 불멸,불로,환생, 탐욕에 대한 경계라는 설명과 함께 긴 유충시절을 견딘것 처럼 뜻을 펼칠때를 기다린다는 의미로도 그려진다고 한다. 나비는 부귀와 장수 나방도 나비와 같은 뜻으로 그려졌을것 같다. 뭐.. 나비랑 나방 구분 자체가 대충 생김새를 보고 내가 분류한거니까 초충도에 그려진 것들은 전부 나비일지도 모르겠다. 벌은 충성, 의리같은 것들... 개구리는 상서로운 동물로 복 그중 재물복을 상징한다고.. 달팽이에 대한 설명은 찾을 수가 없었다..

금요그림 2023.09.08

초충도 어숭이와 개구리

간만에 그린 초충도 어숭이가 무슨꽃인지... 접시꽃인지 닥풀꽃인지..뭔지... 의견이 분분한데.. 그냥 금화규랑 그림이 제일 비슷해 보여서 금화규로 결정.. 금화규의 의미는 찾을수 없어서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 파란색 꽃은 도라지꽃인듯 하고... 도라지꽃은 남성.. 즉 아들기원의 의미가 있다는 말도 있지만 정확한 의미를 찾지는 못했다. 벌레들로 가보면 나비는 장수의 의미를 가지고.. 메뚜기는 다산을 상징하는데... 메뚜기,여치,방아깨비...이런 장르(?)의 벌레들은 일단 알을 많이 낳는다고 해서 다산의 의미를 가지는것 같다 잠자리는 음.. 잘 납득은 가지 않지만.. 긴 생김새때문의 남근-->정력-->다산으로 연결되서 결국 다산의 의미를 가진다고 한다. 그리고 개구리는 상서러운 동물이라 복을 상징하는데 ..

금요그림 2023.06.30

초충도 오이와 개구리

금요그림입니다. 오이는 그 형태....덕분에 남성성과 아들을 의미하고 덩굴식물이니 자손번영의 의미도 당연히 있을테고... 여치는 다산의 의미와 입신출세의 의미도 같이 있다고 한다. 여치를 괵아(蟈兒)라고도 했는데 이 발음이 관아(官牙)와 비슷해서 관아-관청-관청에서 일하는 관리.. 이런 식으로... 입신출세의 뜻을 같게 됐다고... 개구리는 올챙이에서 형태를 바꾸는 상서로운 동물로 복을 가져오는 생물.. 특히 재물복의 상징이라고 한다. 벌은 뭐.. 충성, 의리 등등... 그리고 겸손하라는 의미로 고개숙인 조를 그려넣은것 같다. 아들 많이 낳고 성공하고 돈 많이 벌고 충성하고... 겸손해라.

금요그림 2023.04.2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