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민화 32

초충도 맨드라미와 개똥벌레

금요그림입니다. 맨드라미는 그 모양이 마치 닭벼슬을 닮아 계관화라고 하며 벼슬길에 오르길 기원하는 것이고 쇠똥구리는 갑충으로 갑-갑제-급제의 테크트리를 타서 쇠똥구리 역시 급제하여 벼슬길에 오르길 기원하는 상징으로 쓰이고 있는것 같다. 보라색 꽃은 과꽃인것 같은데... 특별히 과꽃이 가지는 의미를 찾지는 못했지만.. 과꽃이 국화꽃을 닮은 꽃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장수의 의미로서 과꽃을 그리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나비 접나비 접蝶은 팔십 노인 질耋 자와 그 발음이 같아서 팔십까지 살라는 장수의 의미로 그려졌다고 한다. 그러니까.. 이 그림 역시 성공하고 오래살라는 의미다.

금요그림 2023.07.14

초충도 오이와 개구리

금요그림입니다. 오이는 그 형태....덕분에 남성성과 아들을 의미하고 덩굴식물이니 자손번영의 의미도 당연히 있을테고... 여치는 다산의 의미와 입신출세의 의미도 같이 있다고 한다. 여치를 괵아(蟈兒)라고도 했는데 이 발음이 관아(官牙)와 비슷해서 관아-관청-관청에서 일하는 관리.. 이런 식으로... 입신출세의 뜻을 같게 됐다고... 개구리는 올챙이에서 형태를 바꾸는 상서로운 동물로 복을 가져오는 생물.. 특히 재물복의 상징이라고 한다. 벌은 뭐.. 충성, 의리 등등... 그리고 겸손하라는 의미로 고개숙인 조를 그려넣은것 같다. 아들 많이 낳고 성공하고 돈 많이 벌고 충성하고... 겸손해라.

금요그림 2023.04.21

초충도 가지와 방아깨비

금요그림입니다. 가지는 한자로 가자로 쓰고.. 이게 말장난...을 거쳐서 자식을 더한다는 의미가 된다고 한다. 거기에 흰색은 신성한 색이니... 흰가지는 훌륭한 자식을 얻는다는 의미가 있는 모양이다. 거기에 번신력이 좋은 쇠뜨기풀과 덩굴식물인 산딸기까지... 식물은 모두 자손번영의 의미이다. 곤충으로 가면 방아깨비는 알을 많이 낳는다는 속설이 있어 이것도 역시 다산... 나비는 장수를 뜻하는데.. 나방은 다른 의미가 따로 있는지 나비와 같은 의미인지 그건 잘 모르겠다. 개미와 꿀벌은 집단생활하는 곤충들이라 그런가 충절의 의미인듯 하다. 무당벌레는 갑충으로 갑은 갑옷이고 갑옷은 갑제라고 하고 갑제는 급제와 뜻이 갔은 글자라 하여 장원급제 즉.. 성공하라는 의미인것 같다. 암튼 그림은 나라에 충성하고 성공하..

금요그림 2023.04.14

묘접도(猫蝶圖)

고양이와 나비...(사실 나방이지만.) 민화가 대게 그렇듯 묘접도역시 장수를 기원하는 그림이다. 고양이 묘猫와 70세를 뜻하는 모耄, 나비 접蝶과 80세를 뜻하는 질耋의 중국어발음이 비슷홰서 그렇다는 일종의 언어유희도 들어가 있는데 민화의 상징체계들이 저런 비슷한 발음에서 따온게 상당히 많다. 아무튼... 나방쫓는 우리 고양이를 보다가 그려봤다.

금요그림 2019.10.11
728x90
반응형
LIST